티스토리 뷰
EPS란? 주당순이익에 대해 알아봅시다.
오늘은 EPS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EPS란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'주당순이익'이라고도 합니다. EPS는 한 기업의 주식 1주가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알려주는 연간 1주당 수익 지표로 단위는 '원'을 사용합니다.
EPS는 총당기순이익을 총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고, 이것은 1주당 순이익이됩니다.
여기서 '총당기순이익'이란 무엇일까요?
총당기순이익은 기업의 일정 기간동안의 '순이익'을 의미합니다.
순이익에 대해서도 간단히 알려드리자면, 기업이 벌어들이는 '총이익'에서 기업이 쓴 모든 비용과 손실을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기업의 일정 기간동안의 순이익을 산출한 것이 곧 총당기순이익이며, 총당기순이익은 당연히 그 수치가 높을수록 더 좋다는 걸 아실 수 있겠죠?
EPS를 구하는 식을 다시 한 번 정리해봅시다.
EPS = 총당기순이익/총발행주식수 = 1주당 순이익
EPS는 기업의 총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발행주식수로 나누면 구할 수 있고, 이것은 1주당 순이익을 의미합니다. EPS는 총당기순이익이 높을수록, 총발행주식수가 적을 수록 그 값이 커집니다.
이렇게 구해진 EPS는 기업의 총 순이익을 주식에 투자한 주주들에게 모두 나누어준다고 했을 때 주당 얼마의 금액이 나눠지는지를 나타낸다고 이해하셔도 좋습니다.
따라서 EPS는 높을수록 좋은 것이고, 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영업을 잘해서 순이익이 늘어났다라고 판단하시면 되기 때문에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꼭 살펴보셔야 할 지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이제 EPS란 무엇인지 알게 됐으니 실제로 값을 어떻게 구할지 식을 적용해서 구해봅시다.
만약 A라는 기업의 총당기순이익은 10억, 총발행주식수는 1만주라면, A 기업의 EPS는 어떻게 될까요?
1,000,000,000/10,000 =100,000원입니다.
A 기업과 동종업계인 B라는 기업이 있다고 합시다.
B 기업의 총당기순이익은 10억으로 A 기업과 동일하지만, 총발행주식수는 10만주라면, B 기업의 EPS는 어떻게 될까요?
1,000,000,000/100,000 = 10,000원입니다.
계산한 결과 A 기업의 EPS는 100,000원, B 기업의 EPS는 10,000원입니다. 그렇다면 A기업과 B기업 중 순이익이 더 높은 기업은 어디일까요?
EPS가 높은 A 기업의 1주당 순이익이 더 높은 것이기 때문에 B보다는 A 기업의 영업 실적이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이처럼 EPS는 기업 간의 수익률을 비교할 때도 유용하게 쓰이는 지표입니다.
EPS란 기업 간의 수익률을 비교하는데도 쓰이지만, 한 기업의 영업 실적을 평가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. 예를 들어 C라는 기업의 EPS가 아래와 같다고 해봅시다.
C기업의 EPS가 2019년도엔 1만원이었는데, 1년 후인 2020년에는 10만원이 되었습니다. 그럼 EPS가 10배가 된 것이고, 즉 C기업의 영업이익이 10배가 늘어났다는 것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.
C기업의 이러한 좋은 실적은 주식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게 될 것이고, 외부 투자를 받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. 그렇다면 회사의 가치는 상승할 확률이 높을 것이고 주가 역시 상승하게 되겠죠?
이처럼 기업의 가치와 주가가 상승할 만한 기업에 주식 투자를 함으로써 여러분은 수익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. EPS를 왜 따져봐야하는지 이젠 이해하셨을까요?
EPS는 기업의 미래 적정 주가를 예측해보는데도 사용될 수 있는 지표입니다. 미래 적정 주가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PER라는 개념도 이해하셔야 하는데요.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 기회에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.
오늘은 주당순이익 EPS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하트를 꾹 눌러주세요. 더 좋은 양질의 글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!
* 읽으면 도움될 글들